728x90 반응형 배터리3 배터리데이, 예견된 결과와 테슬라 주가(feat. 배터리 자체생산) 9/22일 예정대로 테슬라의 배터리데이가 생중계되었고 전 세계 27만명이 실시간으로 시청하는 등 관심이 아주 뜨거운 이벤트가 지나갔다. 이미 많은 전문가들과 언론에서 배터리데이 내용과 반응, 해석 등을 쏟아놓고 있으며 개인적으로도 관심 있게 살펴보았다. 전에 배터리데이를 기다리면서 적었던 글귀 중 2가지 안을 예상했었는데 첫 번째는 현실 가능한 양산 계획, 두 번째는 신기술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https://basiconomic.tistory.com/30 테슬라 배터리 데이, 2차전지 시장의 변곡점? 전기차 시장에 관심을 가지는 많은 시선이 9월에 다가올 테슬라의 배터리 데이에 포커스되고 있다. 무엇을 발표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에서 확실치 않은 불확실성이 사 basiconomic.tis.. 2020. 9. 25. 2차전지 첨가제 시장의 성장성 전기차 시장이 화려한 조명에 감싸이는 동시에 주행거리를 결정짓는 2차 전지(리튬이온) 배터리 시장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현재까지는 1회 충전으로 3~400km 주행을 기대하고 있으나 점차 성능을 개선하여 주행거리가 지속 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일부는 2차전지 배터리의 한계를 지적하며 곧바로 전고체 배터리(주행거리 약 7~800km)형태로 가는 것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현재 상황에서 가장 시장성 높고 실제 판매가 이루어지는 2차전지를 개선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물론 향후에는 전고체 배터리가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한다) 오늘은 2차전지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를 몇가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2차 전지의 4가지 핵심 이슈와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주행거리 2. 충전시간 3. 제품수명 4.. 2020. 8. 27. 테슬라의 배터리 독립, 실현 가능할까?(feat. 테라팩토리) 테슬라는 배터리데이를 개최하면서 배터리 생산을 내재화할 것을 암시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 내 30기가 용량의 기가팩토리를 가지고 있고, 상해, 베를린에 추가로 기가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배터리데이에서는 기가팩토리가 아닌 테라팩토리를 내세울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일론 머스크(테슬라 창업주)의 행보가 배터리 관련주들의 조정에 빌미를 주고 있는 것 같다. (테라팩토리 관련 내용 아래 링크 참조 ↓↓) https://basiconomic.tistory.com/6 테슬라가 쏘아올린 에너지/모빌리티 생태계 변화 테슬라는 대표적인 전기차 브랜드이면서 동시에 플랫폼 기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나 배터리 시장에서 가장 화두로 떠오르며 관련 기업들을 긴장시키고 있는 거대 공룡 기업이다. basiconomic.. 2020. 7. 2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